콘텐츠목차

여단 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408
한자 厲壇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 산 46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배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단 터
건립 시기/일시 1404년연표보기 - 여단 건립 추정
소재지 여단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 산 46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에 있었던 조선 시대 제단의 터.

[변천]

여단(厲壇) 제도는 1401년(태종 1) 권근(權近)의 건의에 따라 북교(北郊)[서울 창의문(彰義門) 밖의 근교]에 제단을 쌓고 여귀(厲鬼)[못된 돌림병으로 죽은 사람의 귀신]에게 제사 지낸 데서 비롯되었다. 1404년(태종 4) 각 주현에도 이의 시행을 명하였다고 하니 인천의 여단도 이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여제(厲祭)[나라에 역질이 돌 때에 여귀에게 지내던 제사]는 3일 전에 성황당에서 발고제(發告祭)를 지낸 뒤에 본제를 지내도록 하였는데, 여단에는 여귀의 신좌(神座)를 단의 북쪽에서 남쪽을 향해 좌우로 나열하였다. 여제는 대개 원통하게 죽은 사람의 혼령을 대상으로 하는데 죽은 사유에 따라 그 위패를 왼쪽과 오른쪽으로 나누어 세웠다. 제사는 1년에 세 차례 지내는데 봄에는 청명(淸明), 가을에는 7월 보름, 겨울에는 10월 초하루에 지냈다.

[위치]

인천 향교 우측 골짜기를 따라 오르면 약수터가 있고, 그 위에 여단 터가 위치한다. 여단이 있는 같은 산 서쪽, 즉 인천도호부 관아 터에 위치한 문학 초등학교 뒷산에 무자혼신(無子魂神)의 제단이 있었다는 전승도 있다. 하지만 여단에서 자식 없이 죽은 귀신을 제사지냈으므로 두 제단은 같은 곳을 지칭하는 것으로 보인다.

[현황]

인천의 여단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을 비롯한 역대 지지 자료에 인천도호부 관아의 북쪽에 있다고 기록하고 있다. 인천도호부 관아의 북쪽이면 북망산 또는 승학산이라 부르는 인천 향교의 뒷산을 말한 것으로 1949년 인천시립 박물관의 조사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하지만 현재는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없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