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028
한자 口碑傳承
이칭/별칭 구비 문학,구전 전승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최인학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서 말과 기억에 의존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와 민요.

[개설]

구비 전승(口碑傳承)이란 말로 된 문학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글로 표현된 문학인 기록 문학과 구별된다. 구비 전승은 말로 창작되고 전승되기 때문에 전승 과정에서 계속 변하며, 그 변화의 누적으로 개별 작품이 존재하게 된다. 구비 전승의 영역은 크게 이야기[說話], 노래[音樂], 말[言語]의 세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야기에는 신화, 전설, 옛날이야기가 속하며, 노래에는 민요, 무가, 판소리가 속하고, 말로 된 것으로는 속담, 수수께끼, 금기어, 길조어 등이 속한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설화]

설화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과 관련해서 구전으로 전승되는 이야기를 총칭한다. 설화라는 용어 자체는 근대의 조어로서 문헌 설화와 구전 설화로 대별된다. 현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설화는 문헌과 구전되는 것을 통틀어 모두 20편이다. 이들 설화를 세분하면 신화와 전설, 그리고 민담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설화 중에서 「문학산에서 건국한 비류 백제」는 건국 신화에 속하는 설화이며, 「신벌 받고 태어난 식칼래」, 「으스스한 이름의 도깨비 다리」, 「중국으로 가는 사신들과 이별했던 사모지 고개」, 「헛수고로 돌아간 산신 우물가의 백일기도」, 「홍두깨가 팔미도에 떠오르다」, 「흔들못과 아기장수」, 「물이 귀해서 붙여졌다는 무지물 고개」, 「갑옷 바위를 깨뜨리려다 벼락 맞은 안관당지기」, 「떠내려 온 수봉산」, 「중이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중일 고개」, 「신목에 불 지르고 즉사한 박 호장의 아들 형제」, 「문학산의 이칭인 봉화뚝과 배꼽산」, 「왕자 왕전의 유배지 문학산」, 「자기 귀를 자른 양반집 과부」, 「존장의 사과를 받은 여섯 살짜리 제운 선생」, 「정절 지키고 남편과 백년해로한 길정녀」 등 15편은 전설에 속하는 설화이고, 「도깨비 베 잠뱅이와 효자」, 「술 취한 영감에게 잡힌 호랑이」, 「부부에게 속은 도깨비」 등 3편은 민담에 속하는 설화이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민요]

민요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서 주로 민간인들 사이에서 전해 내려오는 노래를 총칭한다. 민요는 민중들이 일상적인 삶을 통해 불러온 노래이기에 창자들의 생활과 직접적으로 맞물려 있는 것이다. 이런 민요는 계층적·지역적·민족적으로 고유성이 강하게 유지된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요는 모두 24편이다.

닻줄을 꼬는 과정에서 불린 주대 소리의 유형으로는 「주대 소리」, 「나무 타령」, 「채 짓는 소리」, 「여사 소리」, 「꼼새 소리」, 「알 타령」 등이 있으며, 어선 및 수송선과 관련된 뱃노래의 유형으로는 「봉구미 타령」, 「바디 소리」, 「시선 뱃노래」, 「인천 근해 갯가 노래 뱃노래」 등이 있다. 갯가 노래의 유형으로 「군음」「나나니 타령」, 염전요로 「물푸기 노래」등이 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포함해서 전국적으로 분포된 창부 타령의 하나인 「열두 달 상사 창부 타령」, 「해방가 창부 타령」, 「6·25 창부 타령」, 「대감 창부 타령」과 동요인 「각거리」, 부요(婦謠)로 「아이고 배야」가 있다. 그 밖에 「투전 불림」「언문 뒤풀이 장타령」, 「고사덕담」「상여 소리」, 「인천 아리랑」 등이 전승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