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700421 |
---|---|
한자 | 具然相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김상열 |
1871년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소재 문학산 진중에 머물면서 『소성진중일지(邵城陣中日誌)』를 집필한 무관.
본관은 능성(稜城)이다. 시조는 고려 때 벽상 삼한 삼중 대광 검교 상장군(壁上三韓三重大匡 檢校上將軍)을 지낸 구존유(具存裕)이며, 구존유의 23세손이다.
아버지는 구정식(具廷植), 할아버지는 구병희(具秉禧), 증조할아버지는 구관석(具觀錫)인데, 이들이 과거에 급제하거나 벼슬을 지냈다는 기록은 보이지 않지만, 그 선대로 올라가면 무관 급제자를 다수 배출한 가문의 후손이다.
구연상(具然相)[1832년~?]은 1832년 출생해, 1855년(을묘년) 음보(蔭譜)[조상의 덕으로 벼슬을 얻음]로 무과(武科)에 급제한 후 수문장 부사과(守門將 副司果)[1867], 부장(部將)[1869], 무신 겸 선전관(武臣 兼 宣傳官)[1870], 훈련원 주부(訓練院 主簿)[1872], 오위도총부 도사(五衛都摠府都事)[1873], 훈련원 검정·어영청 파총(訓練院 檢正·御營廳 把摠)[1874], 구성 부사(龜城 府使)[1875], 진주 영장(晉州營將)[1879], 초산 부사(楚山府使)[1880], 창성 부사(昌城府使)[1884], 황해 수사·친군 별영 별장 부호군(黃海水使․親軍別營別將副護軍)[1885], 선전관(宣傳官)[1887] 등의 무관 요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1887년(고종 24)에는 전라 병사(全羅兵使)에 제수되었으나, 지병으로 인해 사임하였고, 이후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구연상은 1871년 신미양요 발발 당시 숙부 구완식(具完植)이 부사로 있는 인천도호부의 진에 머물면서 1871년 음력 4월 6일부터 5월 23일까지의 인천 진중에 있었던 일을 기록한 『소성진중일지』를 편찬하였다.
구연상의 아들 구종서(具鍾書)가 1893년(고종 30)에 경상좌도 병마절도사(慶尙左道兵馬節度使)에 제수되었을 때, 구연상이 병조 참판(兵曹參判)에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