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털제비꽃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333
이칭/별칭 털오랑캐꽃,이시도야제비꽃,이시도야오랑캐꽃,털씨름꽃,민둥제비꽃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박병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Viola phalacrocarpa Maxim.
생물학적분류 쌍떡잎식물강 제비꽃목 제비꽃과
원산지 한국, 일본, 중국, 시베리아
높이 10㎝ 내외
둘레 미상
개화기 4~5월
결실기 6월
지역 내 자생|재배지 문학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 등지에서 자생하는 제비꽃과의 다년생 초본.

[개설]

오랑캐꽃으로 널리 알려진 제비꽃 무리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대부분 노지와 산지 및 공원, 유휴지 등의 양지바른 구릉지에서 만날 수 있다. 온몸에 잔털이 많아 털제비꽃이란 이름이 붙었으며 키는 비교적 작다. 짤막한 줄기에 무더기로 나는 잎이 뿌리 부근에 몰려서 나온다. 붉은색이 도는 꽃을 피운다. 꽃에는 꿀주머니가 발달하여 꿀을 저장하는 기능이 있다.

[형태]

털제비꽃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을 중심으로 산지와 노지 등에 자생하는 제비꽃의 한 종으로서 전체에 짧은 털이 발달해 있으며 이 때문에 고유한 이름을 얻게 되었다. 잎은 전적으로 뿌리나 땅속줄기에서 돋아 땅 위로 뭉쳐서 나며 달걀 모양 또는 좁은 달걀 모양으로 3㎝ 정도의 비교적 짧은 길이로 생겨난다. 꽃의 색깔은 약간 붉은 기운이 도는 자주색으로 꽃대에 하나씩 달린다. 형태가 유사함에도 몸 전체에 털이 없는 것을 민둥제비꽃이라 부른다.

[생태]

양지를 즐겨 찾는 제비꽃은 공통적으로 꿀주머니가 달리는 특징이 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문학산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털제비꽃 역시 온몸에 털이 난 것을 제외하면 다른 제비꽃과 잘 구별되지 않을 정도이다. 잎은 달걀형이며 잎몸이 잎자루나 줄기와 접하는 엽저 부분은 심장형이고 잎자루는 5㎝ 이상으로 늘어난다.

꽃은 4~5월에 피는데 붉은색이 도는 자줏빛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잎과 잎 사이에서 약 10㎝ 내외의 꽃대를 올려 그 끝에 하나씩 꽃을 단다. 수술은 다섯 개이고 꽃받침의 부속체는 날카로운 톱니를 가졌다. 꿀주머니는 5~10㎜ 정도의 길이로 자라고 성숙한 종자는 삭과[여러 개의 씨방으로 되어 있고 익으면 열매껍질이 말라 쪼개지면서 씨를 퍼뜨리는 열매] 형태로 씨앗 주머니에 보관된다.

잘 익은 삭과는 햇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날 씨앗 주머니의 껍질이 발생시키는 압력으로 씨앗 하나하나를 멀리까지 정해진 순서에 따라 튕겨 낸다. 세 방향으로 이루어진 씨앗 주머니 덕분에 씨앗들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흩어질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한여름에는 폐쇄화[꽃부리가 열리지 않고 꽃봉오리인 채로 자가 수정으로 열매를 맺는 꽃]를 만들어 종자를 생산하는데, 이는 외부의 다른 개체에서 얻은 유전자를 전혀 받아들이지 않고 자신만의 유전자로 100% 똑같은 개체를 생산하게 되는 것이다. 이른 봄에는 다른 개체의 혈통을, 늦은 봄이나 여름철에는 자신만의 혈통을 남기는 것이 제비꽃들의 생존 전략이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산지인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문학산, 도화산, 연경산수봉산 등지에 자생하는 털제비꽃은 특별한 쓰임새를 갖고 있지는 못하다. 개체가 작을 뿐 아니라, 숫자도 많은 편이 아니며 나물로 쓰기에도 썩 선호도가 높은 식물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대부분의 제비꽃은 꽃대 부분을 식용으로 써 왔으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서도 차와 음식, 떡 등에 제비꽃을 넣어 문양을 곱게 장식하는 경우가 있다. 아울러, 제비꽃은 보편적으로 춘곤증을 없애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예로부터 이른 봄에 마시는 차의 원료가 되기도 한다. 관상용으로 재배하는 경우가 흔하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