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지촌집』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801
한자 芝村集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전적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임병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문집
저자 이희조(李喜朝)
간행자 이양신(李亮臣)
권책 32권 15책
간행 시기/일시 1754년연표보기 - 『지촌집』 간행
소장처 서울 대학교 규장각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 1 103동
소장처 한국학 중앙 연구원 장서각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하오개로 323
소장처 국립 중앙 도서관 -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01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희조(李喜朝)[1655~1724]의 시문집.

[개설]

『지촌집(芝村集)』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 학산 서원(鶴山書院)에 배향된 조선 후기 학자 이희조의 시문집이다.

[저자]

『지촌집』의 저자 이희조는 본관이 연안(延安), 자는 동보(同甫), 호는 지촌(芝村)이다. 부제학 이단상(李端相)의 아들이며, 송시열(宋時烈)의 제자로, 『송자 대전 차의(宋子大全箚疑)』, 『해동 유선록(海東儒先錄)』 등의 편저를 남겼다. 이희조송시열의 문인 중에서도 걸출한 인물이었고, 또 당시 시사에 대한 식견도 높았을 뿐 아니라 성리학·경학 등에도 박학했다.

이희조는 1694년에 인천 현감이 되었으며, 1721년(경종 1) 사화로 영암으로 유배되었다가, 철산으로 옮겨 유배되는 도중 죽었다. 이희조는 1725년(영조 1)에 신원(伸冤)되어 좌찬성에 추증되었다. 이희조는 학산 서원과 평강의 산앙재영당(山仰齋影堂)에 봉향되었다.

[편찬/간행 경위]

『지촌집』은 1754년(영조 30) 이희조의 아들 이양신(李亮臣)이희조의 글들을 모아 종류별로 나누어서 편하였다.

[형태/서지]

32권 15책이고 목판본이다. 서울 대학교 규장각·한국학 중앙 연구원 장서각·국립 중앙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지촌집』 권1에는 시 100여 수, 권2~4에 소(疏) 45편, 권5~16에 서(書) 259편, 권17~20에 축문 4편, 제문 20편, 애사 5편, 서(序) 5편, 기(記) 10편, 제발(題跋) 18편, 권21~27에 유고문(諭告文) 6편, 묘지명 18편, 묘갈명 4편, 비(碑) 4편, 묘표 9편, 유사 1편, 전(傳) 4편, 행장 4편, 권28~32에 잡기 2편, 우암 어록 1편, 차기(箚記) 4편, 잡저 10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소(疏)는 주로 동료 문인을 변호하거나 변명하는 내용이 많고 때로는 공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書)는 주로 동료 문인들과 친척들에게 보낸 편지들이다. 편지의 내용은 성리학·사례(四禮)·시사 등에 대한 내용이 대부분이다. 때로는 당시 시사적 사건들을 논한 편지들도 있다.

서(序) 중에서 널리 알려진 「석담 요금정 서(石潭瑤琴亭序)」는 이희조가 해주 목사로 있을 때 석담의 이이(李珥)의 유적을 찾아 ‘요금정’을 세운 내력을 적은 것이다.

유고문은 모두 6편으로 이희조가 지방관으로 있을 때 백성들을 훈계한 내용이 실려 있다.

잡기는 18세부터 만년에 이르기까지 이희조의 독서기(讀書記)와 당시 학자들과의 학술 및 시사에 관한 토론을 조목조목 적어둔 것을 모은 것이다.

잡저 10편의 글 중에서 특히 유명한 것은 학문에 관한 것으로 「중용설(中庸說)」, 「채전인심도심변(蔡傳人心道心辨)」, 「논오관지곤득편(論吳貫之困得編)」 등이 있다.

권말에 문인 이태중(李台重)의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이희조『지촌집』은 당시 사회와 학술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이다. 학산 서원에 배향된 이희조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인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