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인천 이씨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688
한자 仁川李氏
이칭/별칭 경원 이씨,인주 이씨
분야 성씨·인물/성씨·세거지
유형 성씨/성씨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김상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씨시조 이허겸(李許謙)
입향시조 이허겸(李許謙)
본관 인천 - 인천
입향지 연수동 -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
세거|집성지 연수동 -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
묘소|세장지 원인재 -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 584

[정의]

이허겸(李許謙)을 시조(始祖)로 하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포함한 인천 지역의 세거 성씨.

[개설]

인천 이씨(仁川 李氏)는 이허겸을 시조로 하여 고려 시대부터 인천광역시 지역에 세거하던 성씨이다. 고려 시대 문종(文宗)에서 인종(仁宗)까지 7대에 걸쳐 5명의 태후(太后)와 5명의 왕후(王后)를 배출하여 인천의 읍호(邑號) 승강(昇降)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조선 시대에도 세조(世祖) 비의 외향(外鄕), 즉 어머니의 고향이 인천이라는 이유로 군(郡)에서 도호부(都護府)로 승격되었다. 인천 이씨의 본거지는 지금의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 일대이나, 인천광역시 전 지역에 걸쳐 세거하였다.

[연원]

인천 이씨의 기원은 김해 허씨(金海 許氏)와 연결된다. 가락국(駕洛國) 수로왕(首露王)의 아들 중 모후(母后)의 성을 따라 허씨(許氏)가 된 인물의 후손 중에 아찬(阿湌) 허기(許奇)가 있다. 허기는 신라 경덕왕(景德王) 때 사신으로 당나라에 갔을 때 안록산(安祿山)의 난을 맞아 현종(玄宗)을 호위한 공으로 이씨(李氏) 성을 사성(賜姓) 받았다. 인천 이씨의 시조 이허겸은 허기의 10세손이다.

인천 이씨가 인천에 정착하게 되는 과정은 인천 이씨 문중 문집인 『소성 세덕(邵城世德)』과 『고려사(高麗史)』에 전해진다.

『소성 세덕』에는 “공(公)의 이름은 허겸(許謙)이니 김씨에서 허씨가 되었고, 허씨로서 이씨의 후손이 되었다. 그 선조는 가락국 수로왕의 왕자였는데, 수로왕이 왕비의 말에 감동되어 왕비의 성으로 하사했으니 김씨로서 허씨가 된 것이 이것이요, 그 후에 사명을 받들고 당 현종조에 입조했는데, 황제가 그 어진 재주를 가상히 여겨 황성(皇姓)을 하사했으니, 허씨로서 이씨가 된 것은 이것이었다. 공이 세신(世臣)의 주손(冑孫)[맏손자]으로서 신라 말엽에 탄생하여 고려조에 벼슬하였으며, 관작이 상서 좌복야 상주국 개국후(尙書左僕射上柱國開國侯)에 이르고 소성백(邵城伯)을 봉하여 식읍(食邑) 1,500호를 하사하였다. 자손이 인하여 소성부의 동쪽 소래산(蘇來山) 아래에 거주했으니, 소성에서 이씨가 그 터를 잡은 것은 이에서 시작되었으며, 드디어 전국에 번창하였다.”라고 기록하고 있다.

또한 『고려사』 「이자연전(李子淵傳)」에는 “이자연인주(仁州) 사람이다. 그의 조상은 신라의 대관으로서 당나라에 사신을 갔는데, 천자가 가상히 여겨 이씨 성을 내렸다. 그 후 그의 자손이 소성현, 즉 인주로 이주하였다. 이허겸의 대에 와서 소성백의 봉작을 받았으며 그의 아들이 상서 우복야(尙書右僕射) 이한(李翰)이요 이한의 아들이 이자연(李子淵), 이자상(李子祥)인 바 이자상은 죽은 뒤에 상서 우복야 벼슬을 추증 받았다.”라고 하였다.

이를 통해 인주 이씨는 인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 호족 세력임을 알 수 있다. 그 세력의 형성에는 가야계인 선대가 신라 하대에 가야계의 몰락과 함께 인천 지역으로 출거했던 것으로 보이며, 이를 전후하여 서해안을 중심으로 당과의 관계를 공고히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당의 황제로부터 이씨를 사성 받은 후 그 자손들이 인천에 정착하였다는 것은 호족으로서 이씨가 당과 관련 있는 해상 세력이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인주 이씨가 고려 왕실과 관계를 맺게 되는 것은 안산 김씨 가문의 김은부(金殷傅)와의 혼인에서 기인하는 것이다. 이허겸의 딸, 안효국대부인이 낳은 세 딸이 현종 비가 되면서 이허겸덕종·정종·문종의 외증조할아버지가 되었으며, 현종으로부터 상서 좌복야 상주국 소성현 개국후의 작위와 1,500호의 식읍을 받았다. 이로써 인천을 중심으로 한 해상 무역을 통해 기반을 다진 인주 이씨는 고려 왕실과의 외척으로서 명문거족(名門巨族)이 되었다.

[입향 경위]

인천 이씨의 시조 이허겸이 식읍 1,500호를 하사받은 곳이 현재의 인천이며, 이후 후손들이 인천에 세거하며 관향(貫鄕)으로 삼았다.

인천 이씨를 권문세가(權門勢家)로 발전시킨 것은 이허겸의 손자인 이자연에 의해서이다. 이자연은 1052년(문종 6) 2월에 자신의 큰 딸을 문종의 왕비로 들인 후, 나머지 두 딸도 차례로 문종에게 출가하였는데, 인예 태후(仁睿太后)가 문종과의 사이에서 10명의 왕자와 2명의 궁주(宮主)를 낳은 것을 비롯하여 모두 13왕자 6공주를 낳았다. 이에 왕위에 오른 숙종(肅宗)은 관례에 따라 인예 태후의 내향(內鄕)[왕비의 친정이 있는 고장]인 인천을 경원군(慶源郡)으로 승격시켰다.

이자연의 손자 이자겸(李資謙)은 자신의 둘째 딸을 예종(睿宗)의 비, 즉 순덕 태후(順德太后)로 들였다. 순덕 태후는 사저에서 인종(仁宗)을 낳았는데, 인종이 즉위하여 어머니 순덕 태후의 내향이라는 이유로 경원군인주로 승격시켰다. 이때 처음으로 인천에 지주사(知州事)가 파견되었는데, 이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관교동에 위치한 인천도호부 관아의 시원(始原)이 된다. 이자겸의 난으로 인주 이씨의 위세가 한풀 꺾이기는 하나 고려 말까지 명문거족으로서의 위치는 계속된다.

1390년(공양왕 2)에 인천은 경원부(慶原府)로 승격하였는데, 이는 인천이 ‘칠대 어향(七代御鄕)’이기 때문이었다. 칠대 어향이란 문종부터 시작하여 순종·선종·헌종·숙종·예종을 거쳐 인종에 이르기까지 7대 동안 인천 이씨가 왕실과 혼인 관계를 맺었음을 의미한다. 순종·선종·헌종·숙종·인종 5대의 모후가 인천 이씨였으며, 문종·순종·선종·예종·인종 5대 왕의 왕후가 인천 이씨였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서도 인천 이씨와 왕실과의 관계는 계속된다. 인천은 1459년(세조 5)에 군(郡)에서 도호부(都護府)로 승격하였는데, 이는 왕이 즉위하였을 때 왕과 왕비의 친가와 외가의 고을 등급을 올려주는 관례에 따라 이루어진 것이다. 세조는 파주에 기반을 둔 윤번(尹璠)의 딸과 혼인하였는데, 윤번은 인천 이씨인 이문화(李文和)의 딸을 아내로 맞이하였다. 즉, 세조의 비인 자성 왕비(慈聖王妃)의 외향이 인천이라는 이유로 도호부로 승격한 것이다.

[현황]

2000년 인구 통계에 따르면, 인천 이씨는 전국에 21,448가구 68,628명이 살고 있다. 인천광역시에는 844가구 2,786명이 살고 있다.

[관련 유적]

인천 이씨의 시조인 이허겸의 묘와 묘려(墓閭)인 원인재(原仁齋)가 인천광역시 연수구 연수동 584번지에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