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려 시대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357
한자 高麗時代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김영준

[정의]

91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 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의 역사.

[개설]

9세기 말 신라의 국력이 쇠약해져 각지에서 군웅들이 할거하였고 이는 곧 후삼국의 정립으로 이어진다. 이 중 태봉을 세운 궁예(弓裔)[857(?)~918, 재위 901~918]의 장수로 있던 왕건(王建)[877~943, 재위 918~943]이 궁예를 몰아내고 918년 고려를 건국하였다. 그리고 935년 신라의 귀부(歸附)를 받고, 이듬해 후백제를 멸망시켜 후삼국을 통일하게 된다. 이후 918년부터 1392년까지 474년간 34대에 걸쳐 왕조는 유지되었으며 14세기 말 이성계(李成桂)[1335~1408, 재위 1392~1398]가 고려의 왕위를 찬탈하고 조선을 세우게 된다.

고려 시대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는 인천사에 있어서 비약적인 발전을 하게 되는데, 신라 시대에는 율진군의 속현이었고, 고려 현종 때는 수주(樹州)의 속현이었다가 인주 이씨(仁州李氏)가 왕실의 외가가 되면서 경원군(慶源郡), 인주(仁州), 경원부(慶源府) 등으로 지방 행정 조직상 그 지위가 계속 격상되게 된다.

[행정 구역의 변천]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는 신라 경덕왕 때에 매소홀현소성현으로 바꾸고 율진군에 속하게 된 이래로 소성현으로 불렸다. 하지만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지역에 근거지가 있던 인주 이씨의 시조 이허겸(李許謙) 때에 김은부(金殷傅)에게 딸을 시집보내 그 외손녀들이 왕비가 된 것을 시작으로, 이허겸의 손자 이자연(李子淵)[1003~1061]이 문종에게 세 딸을 시집보내면서 문종·순종·선종·예종·인종에 걸치는 동안 왕의 장인이자 외가가 되어 그 위상이 달라지게 되었다.

숙종 때는 왕의 외가라고 하여 수주(樹州)의 속현에서 경원군으로 승격되었고, 인종 때는 인주로 승격되게 된다. 이후 이자겸(李資謙)[?~1126]의 난 등으로 인주 이씨가 왕실의 외가로의 자격을 잃기는 했어도 그 읍격(邑格)이 강등되지 않았으며, 오히려 1390년(공양왕 2)에 인주경원부로 승격되는 등 고려 시대에는 왕의 외가로서의 상징적 존재로 있었다.

[고려 시대 미추홀구의 호족 세력과 인주 이씨]

고려는 초기에 지방에 지방관을 보내지 않아 대체로 각 지방의 호족들이 자체적으로 통치를 했다. 그 당시 인천의 대표적인 호족이 인주 이씨였다. 인주 이씨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호족으로 등장하게 된 것은 언제인지 분명하지 않다. 다만 본래 김해 허씨(金海許氏)였으나 이허겸의 6대조인 허기(許奇)가 당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가 안록산(安祿山)의 난으로 피난하는 현종을 호종한 공으로 이씨 성(姓)을 하사받았다고 한다. 이후 원래 성인 ‘허’ 자 앞에 ‘이’ 자를 붙여 왔는데, 이허겸의 대에 와서부터는 이씨로만 쓰게 되었다.

인주 이씨가 고려 왕실의 주요 외척이 된 것은 이허겸의 대부터이다. 김은부에게 시집간 이허겸의 딸이 낳은 손녀들이 고려 덕종정종, 문종의 왕비가 되면서 왕실과 인연을 맺기 시작했으며, 이허겸의 손자 이자연의 세 딸이 모두 문종비(文宗妃)가 되면서 그 위세는 점차 높아져 갔다. 이후 이자의(李資義)[?~1095년]가 헌종을 폐위시키고 한산후(漢山侯) 윤(昀)을 추대하려는 시도가 실패로 돌아가면서 잠시 주춤하기도 했지만 이자연의 손자인 이자겸이 왕실의 외척이 되면서 다시 세력을 회복하였다. 이렇게 인주 이씨의 지위가 격상되면서 수주의 속현이었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는 경원군, 인주 등으로 그 읍격이 높아져 갔다.

왕실의 외척이 된 이자겸은 자기 세력권에서 벗어난 이는 백방으로 중상하고 제거했으며, 자신의 족속을 요직에 배치하고 벼슬을 팔아 세력을 확대하는 데 온힘을 기울였다. 또한 당시 병권을 배경으로 한 척준경(拓俊京)[?~1144년] 세력과 야합하여 막강한 실력을 갖추게 된다. 급기야 국공(國公)[고려 시대 제정된 최고위의 작위]에 봉해지고 부를 세워 숭덕부(崇德府)라 했으며, 궁을 의친궁(懿親宮)이라 부르게 하였고, 자신의 생일을 인수절(仁壽節)이라 칭하기까지 하였다. 그리하여 마침내는 스스로를 국가의 정치를 왕이나 다름없이 맡는 직함이라는 뜻인 지군국사(知軍國事)라 일컫기까지 하였다.

이렇듯 이자겸이 왕조 교체를 위한 모든 준비를 갖추고 때를 기다리던 중에 내시지후(內侍祗候) 김찬(金粲)과 내시녹사(內侍錄事) 안보린(安甫鱗)이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 지녹연(智祿延)과 함께 이자겸을 제거하려는 이자겸의 난이 발생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난은 병권을 쥐고 있던 척준경이자겸 사이에 생긴 불화와 이를 이용한 고려 인종의 노력으로 진압된다. 이로 인해 이자겸과 그의 일족은 숙청당하고 그의 딸들도 왕비에서 폐위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이자겸의 난으로 인주 이씨는 사실상 몰락하게 되었지만, 인천의 읍격마저 격하된 것은 아니고 오히려 1390년(공양왕 2)에는 ‘7대 어향(御鄕)’이라 하여 경원부(慶源府)로 승격되기까지 하였다. ‘7대 어향(御鄕)’이란 7명의 임금들의 외가 혹은 처가라는 말로 당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는 문종·순종·선종·예종·인종 5대 왕비의 내향(內鄕)이었으며, 이 중 순종·선종·인종 3대 동안에는 왕의 외향(外鄕)인 동시에 왕비의 내향이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