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영천 지역에서 생각이나 느낌 따위를 나타내거나 전달하는 데 쓰는 음성과 문자 등의 수단. 또는 사회 관습적 체계. 영천 지역의 언어는 삼한어(三韓語)의 중심인 변한어(弁韓語)에 기층을 둔 신라 경주 지역의 언어권에 속하며, 영남[동남]의 언어권 가운데 대구 지역의 언어권[천시권, 1966]인 대구·영천·경주·포항·영덕·영양 지역의 언어권에 속한다. 삼...
경상북도 영천 지역 민속에서 행동이나 말씨의 존신을 위해 금하는 말. 금기어(禁忌語), 또는 금기담은 일종의 생활 교육의 방편으로 금해야 할 언어나 행동에 대한 경고성의 언어로, 주로 서술어가 “~하지 말아라”, “~하면 안 된다”, “~하면 못쓴다” 등의 표현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엄격하게 따져 금기어는 낱말이 아니라 구절로 표현되기 때문에 금기 구문이라는 용어가 더...
경상북도 영천 지역에서 좋은 일이 있을 조짐을 알려 주는 말. 길조어(吉兆語)는 살아가는 사람들에게 이롭게 하고 복을 주는 적합한 말을 붙여 문장으로 표현되어 구전되어 온 말이다. 즉 길조어는 오랜 세월을 두고 기억 전승되어 온 인간의 행위를 권장하거나 긍정적인 내용을 담은 말이다. 길조어의 구조는 대개 ‘~하면 좋다’ 또는 ‘~하라’ 등의 뜻을 지닌 권장 형태의 언어...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고대 변한어에 기층을 둔 신라 경주 방언권에 속하는 방언. 영천 방언은 삼한어(三韓語)의 중심인 변한어(弁韓語)에 기층을 둔 신라 경주 방언권에 속하는데, 조선에 들어서서 대구~경주~포항과 군위~의성~청송으로 연결되는 교통의 중심지로서 독특한 영천 방언을 형성하고 있으나 크게는 대구-경주 방언권에 속한다. 영천 방언의 역사적 흔...
경상북도 영천 지역에서 예로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비유적인 짧은 글귀. 속담(俗談)은 시대정신이나 민중의 삶의 지혜와 가치가 녹아 있는 함축된 문장으로 된 글귀를 말한다. 속담은 누가 언제 만든 것인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지역에 따라 생활양식과 정신이 짙게 배인 민중들의 공동 소작이라고 할 수 있다. 조선 시대에는 계급을 풍자하거나 남성과 여성의 차등성이라는 사회적...
경상북도 영천시 지역에서 어떤 사물에 대하여 바로 말하지 아니하고 유사 낱말을 통해 의문의 말을 찾아내는 언어 놀이. 수수께끼는 슈지, 슈지겻기라고도 하는 것으로 질문자가 어떤 사물과 현상을 유사 낱말을 통해 물으면 상대방이 그 답을 알아맞히는 언어 놀이이다. 수수께끼는 지역에 따라 ‘스무고개’라는 방식으로도 나타나는데, 무한정한 질문이 아니라 유사한 낱말 20가지로 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