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700207 |
---|---|
한자 | 南仁川驛 |
이칭/별칭 | 인천항역/수인역/인천남부역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허은심 |
성격 | 철도역 |
---|---|
개칭 시기/일시 | 1948년 6월 1일![]() |
개칭 시기/일시 | 1955년 7월 1일![]() |
폐쇄 시기/일시 | 1973년![]()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37년 8월 6일 - 인천항역 영업 개시 |
특기 사항 시기/일시 | 2016년 2월 27일![]() |
현 소재지 | 남인천역 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숭의동에 있었던 수인선의 철도역.
남인천역(南仁川驛)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인 수인선이 통과하는 역이었다. 1973년 수인선 영업 중단과 함께 역사가 폐쇄되었다. 현재 남인천역 터만 남아 있는데, 중구 신생동 삼성 아파트 남쪽에 있는 선로 옆 공터 일대이다. 2016년 2월 27일에 송도역~인천역 구간 수인선이 재개통되면서 남인천역은 능안 삼거리 동편 주인선 남인천 신호소 역이었던 자리에 숭의역[인하대 병원역]으로 영업을 재개하였다.
1937년 8월 6일 개통 초기의 이름은 인천항역(仁川港驛)이었으나 광복 후 1946년 5월 10일 국유화되고 1948년 6월 1일 수인역으로 바뀌었다. 지금도 수인역 사거리라는 지명이 남아 있다. 1955년 7월 1일에 남인천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1973년에 역사가 폐쇄된 이후 표준궤로 부설되었다.
그리고 남인천역에서 동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있는 남인천 신호소역(signal station)이라 불리던 곳은 남부역으로 부르게 되었다. 그러면서 사람들은 인천항역·수인역·남인천역·남부역을 동일한 역으로 생각하게 되었다.
남인천역 부지 서쪽에 있는 능안 삼거리 철도 건널목에서 열차가 좌측과 우측으로 갈라지는데, 좌측이 인천항 방면(인천항 석탄 부두선)이고 우측이 인천역 방면이다. 남인천역 부지 동쪽에서 갈라지는 철로는 좌측이 수인선[동양 화학선], 우측이 주인선이다.
남인천역 터 인근에서 부정기적으로 하루에 한두 차례 인천항으로 석탄을 입환하는 열차가 스위치백[높이의 차이는 없지만, 일종의 스위치백 구조라 할 수 있다]으로 인천항 석탄 부두선으로 분기한다. 우리나라에서 스위치백을 볼 수 있는 몇 안 되는 곳 중 하나다. 철로의 수동식 전환기를 인환하는 수송원들의 조작에 의해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2012년 12월 신인천 축항선으로 이설되어 남부역 부지에서 회차하는 모습은 더 이상 볼 수 없으며, 2016년 2월 27일 개통한 숭의역에 옛 남부역의 모습을 담은 장식 벽이 설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