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낟가릿대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698
이칭/별칭 볏가릿대,볏가리,노적가리,화간(禾竿),화적(禾積),도간(稻竿)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한만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세시 풍속
의례시기/일시 음력 정월 14일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 정월 14일에 여러 가지 곡식을 싸서 장대에 매달아 풍년을 기원하던 풍속.

[개설]

낟가릿대 는 음력 정월 14일이나 정월 보름날에 짚이나 헝겊 등에 벼, 보리, 조, 수수, 기장 등의 여러 가지 곡식을 싸서 장대에 매달아 높게 세우고 풍요를 기원하던 풍속이다. 지역에 따라서 볏가릿대[화간(禾竿)] 또는 노적가리 등으로 불리기도 하며, 형태나 세우는 위치의 차이가 나타나기도 한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서는 정월 14일에 낟가릿대를 만들었던 것으로 보인다.

[연원 및 변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상원 조(上元條)에 보면 “시골 사람들은 보름 하루 전날에 군대 깃발인 둑기[독기(纛旗)] 모양으로 짚을 묶고서 그 안에 벼, 기장, 피, 조의 이삭을 넣어 싸고, 목화를 그 장대 끝에 매달아 집 곁에 세우고 새기를 사방으로 벌려 고정시킨다. 이것을 벼 낟가리[화적(禾積)]라고 하며 이것으로 풍년을 기원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조선 시대 유득공(柳得恭)의 『경도잡지(京都雜誌)』, 조수삼(趙秀三)의 『상원 죽지사(上元竹枝詞)』 등에서도 낟가릿대에 관한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볼 때, 농촌에서는 보편적인 풍속이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비롯하여 현대에 도시화가 급속히 이루어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풍속이며, 다만 농촌 일부 지역에서 전해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절차]

낟가릿대 를 세울 때는 곧고 긴 장대를 사용하는데, 지역에 따라 소나무나 대나무를 사용하였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비롯하여 대나무가 자생하지 않는 북쪽에서는 주로 소나무를 사용하였다. 장대에 짚을 묶은 뒤에 헝겊이나 종이에 싼 여러 가지 곡식을 여기에 묶거나, 벼, 조, 기장 등의 곡식 이삭을 그대로 꽂아서 둔다. 그리고 장대 위에 목화(木花)를 늘어놓은 뒤 마당에 세우고 사방을 새끼줄로 고정시켜 세운다. 낟가릿대는 음력 2월 1일에 내리는데, 이때 낟가릿대에 사용하였던 곡식을 이용하여 나이떡을 만들어 머슴들에게 주기도 하였으며, 식구의 나이 수대로 떡을 만들어 먹으며 풍요와 무병장수를 기원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농촌에서 풍요를 기원하며 새해에 농사를 준비했던 기간인 정월에 행해졌던 풍속이다. 현대에 와서는 대부분의 농촌에서도 보기 힘들어졌으며,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와 같이 빠르게 도시화가 진행된 지역에서는 더욱 보기 힘든 풍속이 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