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312
이칭/별칭 들마꽃,민들레미,머슴들레,씬내이,씬나물(경남),마꾸(강원),씬나물(충청),문둘레,무운둘레,무순들레,무순둘레(함경),맨들레(평안),앉은뱅이꽃(평안),등글레,무미들레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식물/식물(일반)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박병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식물
학명 Taraxacum platycarpum H. Dahlst.
생물학적분류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원산지 한국을 포함한 일본 중국 동아시아 전역
높이 줄기가 없어 해당 없으나 대략 20㎝ 이하
둘레 미상
개화기 이른 지역은 3월, 일반적으로 4~5월경
결실기 개화한 다음 약 2~3개월 후 숙성
지역 내 자생|재배지 민들레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전역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전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여러해살이뿌리를 가짐.

[개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전역에서 자생하며 문학산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민들레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흔히 추운 곳에서는 겨울을 나기 위한 목적으로 로제트라는 방석 모양의 근생엽(根生葉)을 갖는다. 흔히 도심에서 보이는 민들레는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비롯한 인천 지역 전반에 걸쳐 분포하는 서양 민들레가 주류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산업화·도시화에 따라 자생종 민들레가 사라진 지역에 유입된 외래종이 서식처를 마련한 결과이다.

따라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서양 민들레가 우점하고 있으나 문학산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환경이 온전한 곳에서는 흰민들레와 노란색의 꽃을 피우는 우리 고유종 민들레가 아직도 잔존해 있다.

[형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전역에서 발견되거나 서식하는 민들레 중 우리 고유의 민들레는 줄기를 만들지 않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따라서 뿌리에서 기원한 근생엽만으로 살아가며, 일정 시간이 흐르면 꽃대를 올려 개화를 하고 암꽃에서 기원한 종갓이라는 하얀 갓털을 단 종자를 날려 번식 목적을 달성한다. 잎은 톱날처럼 잘게 갈라진 형상을 하고 있으며 전초(全草)에서는 상처를 입게 되면 흰 즙을 낸다. 들판이나 산자락, 숲가의 양지바른 곳을 선호하여 정착한다.

[생태]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문학산을 중심으로 하는 자연 녹지 공간과 도심의 노는 땅이나 나대지(裸垈地), 아파트 내 녹지 공간 등의 햇살이 잘 드는 건조한 토양에서 자생하는 민들레는 다년생의 특성을 살리기 위해 뿌리에 영양분을 저장하여 겨울을 나고 이듬해 봄 꽃대를 올려 후손을 퍼뜨리는 생존 전략을 갖고 있다. 지상부에는 뿌리 부분에서 발생한 잎이 뭉쳐나기를 하고 있고, 대부분의 잎은 거꾸로 된 바소꼴 형상이다.

꽃은 자생 민들레의 경우 대부분 4~5월경 개화하지만 서양 민들레의 경우는 이른 경우 3월 중순부터 시작하여 10월까지도 개화가 이어지는 특성이 있다. 민들레는 꽃대를 여러 개 발생시키는데, 지상으로 솟아오르는 순서에 따라 특이한 행동을 보인다. 즉, 가장 먼저 올라온 꽃대가 개화를 하기 전에는 다른 어린 꽃대들이 모두 아래쪽에 굽은 상태로 대기한다. 이어서 먼저 개화한 꽃이 수분을 마치고 성숙기에 들어가게 되면 기다리고 있는 다른 어린 꽃대와 비슷한 형상으로 머리를 지면으로 굽히게 된다. 그러면 대기하고 있던 두 번째 꽃대가 개화를 하고 수분을 마친 뒤 다시 앞선 꽃대와 마찬가지로 꽃을 닫고 머리를 숙여 다른 꽃대가 같은 과정을 이어가도록 배려한다. 이런 모습을 본 선조들이 민들레로부터 겸손함과 배려하는 자세를 배우도록 하고자 지금의 학교에 해당하는 서당 마당에 심고 학동들에게 자주 보도록 한 것이다. 그리하여 포공영(蒲公英)이라는 칭호까지 붙게 되었다.

모든 꽃대가 개화를 마치고 수분을 끝내면 꽃 부분은 자세를 낮춰 지면의 열과 햇살을 이용해서 종자를 숙성시킨 후 한꺼번에 일어서서 잘 발달된 하얀 낙하산 모양의 갓털을 바람에 날려 종자를 멀리 이동시킨다. 이런 행동은 서양 민들레나 우리 자생 민들레 모두 유사하다.

민들레의 꽃은 두상화서(頭狀花序)이며 꽃자루가 없이 꽃통에 모여 난다. 성장 초기에는 꽃자루에 털이 빽빽하지만 점차 사라져 나중엔 꽃이 달린 부분에만 남게 된다. 열매는 수과(瘦果)이며 길이가 약 3㎜ 내외이고 긴 타원형 모양에 돌기가 잘 발달해 있어서 작은 틈에 끼면 잘 빠지지 않아 정착에 유리하게 되어 있다.

우리 민들레는 꽃을 싸고 있던 총포에 해당하는 부분이 하늘로 향해 있으나 서양 민들레는 이 총포 부분이 아래로 뒤집어져 있어서 중요한 구분 방법이 된다.

[역사/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에 자생하는 민들레는 주로 나물 및 약재로 활용되어 왔다. 실제 한방에서는 열로 인한 종창, 맹장염, 인후염, 급성 복막염, 간염 및 황달에 민들레를 처방하고 있고, 소변을 배출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경우에도 처방한다. 이 외에도 임파선염, 안질, 유선염, 담낭염, 소화불량, 변비 치료 및 심한 부스럼과 염증을 없애려는 목적으로도 활용한다. 산모의 젖 분비를 촉진한다고 알려져 있기도 하지만, 임산부의 경우 도심에서 자란 민들레는 여러 중금속에 오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한다. 아울러, 어떤 식물 한 종만으로 특정 질환을 개선시킨다는 것은 아직 학술적으로 입증된 바 없는 경우가 많으므로 지나치게 다량을 섭취하는 것은 도리어 화를 부를 수도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