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에 있는 재령이씨의 정자. 1941년 이기환이 지은 목조 기와형으로 지은 건축물이다. 만수정(晩修亭)이란 이름은 뒤늦게 인격을 수양한다는 시의 구절에서 유래한 것이다. 이기환은 선조의 유지를 받들어 이 재실을 짓게 되었는데, 그의 선조들은 근면, 빈객 맞이, 그리고 제사 등에 있어서 향리사람들로 칭송을 받는 이들이었다. 또한 명리 보다는 의리를 중시하였...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 방어산에 있는 산성. 고려시대에 축조되어 조선시대에 폐기된 것으로 추정되는 석축의 테뫼식 산성이다. 명칭과 관련하여서는 『경상도지리지(慶尙道地理誌)』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및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등의 조선시대 각종 지리지에 방어산성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1379년(고려 우왕 5) 봄에 왜적과 방어산성에서...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에 있는 열녀 파산이씨를 기리는 비. 남편이 일찍 죽자 평생을 수절하며 시부모와 시조모를 공경한 파산이씨의 열행을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 정골소류지 부근의 도로변에 위치한다. 사각형의 받침돌 위에 높이 120㎝, 너비 40㎝, 폭 12㎝의 몸돌을 세우고 그 위에 머릿돌을 얹었다. 비의 제목은 「열부사인재령이중환처파산이씨창...
-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재령. 자는 재숙(載叔), 호는 청계(淸溪). 증조할아버지는 이중광, 할아버지는 이현재, 아버지는 이명규이다. 1681년에 경상남도 진주에서 출생하여 영조 병오년에 문과에 급제한 후 예조좌랑에 올랐다. 관직에서 물러나서는 향리인 진주에서 뜻있는 학우들과 학문을 연마하고 제자를 가르치며 여생을 보냈다. 특히 향약을 수립하는 등 미풍양속을 선양하는데 심혈을...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학자 이중광(李重光)의 묘비. 이중광[1592~1685]의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경현(景顯), 호는 행정(杏亭)이다. 청송에서 태어나 일찍 부모를 여의고 학문에 정진하여 후학을 가르치고 유학을 진흥시키는 데 힘썼으며,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 재령이씨 입향조이다. 병자호란 때 용양위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냈다. 이중광이...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 재령이씨 문중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말기의 건의문. 1901년 경상도 유림에서 이중광(李重光)[1592~1685]의 향례시 제물로 소요되는 소를 도축할 수 있도록 관찰사에게 허가를 신청하는 건의문을 올리자 이를 허가 처분한 문서이다. 100여 년 전의 공용문서로, 당시의 생활 모습 일부를 알 수 있는 자료이다....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에 있는 재령이씨의 정사(精舍). 미암공(薇庵公)의 아들 이종호·이일호가 선친을 기리기 위해 1938년에 목조기와형으로 지은 수학(修學)과 수행(修行)의 장소이다. 청원마을의 한 지명인 죽동을 따라 죽동정사라고 이름을 지었다. 이종호와 이일호가 지은 목조기와형 수학 수행처이다. 미암공은 학문에 독실하고 의리 있는 행동을 중요시하는 선비여서 마을 사람들로...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진주 이세후 종가는 1836년(헌종 2) 건립된 주택이다. 안채는 상량문에 ‘숭정 기원후 이백삼십년 태세재 병신 삼월 십삼일 병신 신시 입주 동일 신시 상량(崇禎紀元後二百三十年太歲在丙申三月十三日丙申申時入住同日申時上樑)’으로 되어 있어 1836년에 건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사랑채는 상량문에 “계축 구월 이십삼일 신시 입주...
-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에 있는 개항기의 주택. 1880년(고종 17)에 청호공(淸湖公)이 안채 8칸 겹집을 건립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 693-2[청원길51번길 6]에 있다. 지수면의 청원리를 찾아가면 지방도에 청원리라는 이정표가 적혀있는데 이 이정표를 따라 400m 정도 들어가면 마을이 있으며 마을의 가장 중심에 위치하고 있다. 배치형태는 안채와 사랑채가 일...
-
조선시대 지수면 청원리에 건축했던 사당. 이 사당의 소재지는 경상남도 진주시 지수면 청원리이며, 조선시대에 건축되었던 사당이었으며, 고종시에 철폐되어 현재 복건사업이 진행 중이고, 비석이 남아있다. 성종시의 명신인 홍문관 부제학 이관재와 그 후손인 행와 행정을 배향하여 제사지내던 사당으로 조선시대에 건축되었다. 그 후 고종시에 이 사당이 철폐되었는데, 후손인 이기환이 이 사실을 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