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300494
한자 西山大師表忠祠紀蹟碑
영어공식명칭 Seosandaesa Pyochungsa Gijeogbi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황호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791년(정조 15)연표보기 -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 건립
현 소재지 대흥사 -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대흥사길 400[구림리 799]지도보기
성격 기념비
양식 석비
관련 인물 청허휴정|서유린|정동준
재질
크기(높이, 너비, 두께) 333㎝[높이]126㎝[너비]|42㎝[두께]
소유자 대흥사
관리자 대흥사

[정의]

전라남도 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 대흥사 표충사에 있는 조선 후기에 건립된 서산대사의 행적비.

[개설]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西山大師表忠祠紀蹟碑)해남군 삼산면 구림리 두륜산 대흥사에 있다. 대흥사에 있는 서산대사를 모신 표충사에는 서산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기적비가 있다.

[건립 경위]

임진왜란 당시 승병을 규합하여 전쟁에 공을 세운 서산대사가 입적한 이후 대둔사(大芚寺)[대흥사]에 사우가 건립되자정조가 표충(表忠)이라고 사액(賜額)하였으며, 1791년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를 세웠다.

[위치]

대흥사 성보박물관 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표충사가 있다. 돌담의 안쪽 중앙에 사당이 있고, 좌우측 아래쪽에는 조사전(祖師殿)과 표충비각(表忠碑閣)이 각각 있다. 비각 안에 ‘표충사건사적비(表忠祠建事蹟碑)’와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西山大師表忠祠紀蹟碑)’[향좌측]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형태]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의 크기는 높이 333㎝, 너비 126㎝, 두께 42㎝이다. 사각형 비좌에 비 몸돌을 세우고 팔작지붕 모양의 머릿돌을 얹었다. 비좌에는 연꽃문양의 복련을 두르고 네 면에는 귀면과 꽃문양을 새겼다.

[금석문]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는 비 앞면 맨 윗부분에 전제(篆題)인 ‘국일도대선사선교도총섭부종수교보제등계존자’를 가로로 썼다. 비 앞면 우측 맨 앞에 ‘서산대사표충사기적비명(西山大師表忠祠紀績碑銘)’이라는 비제(碑題)를 세로로 썼다. 건립 연대는 비신 측면에 ‘숭정기원후삼신해월립(崇禎紀元後三辛亥月立)’이란 명문으로 보아 1791년(정조 15)임을 알 수 있다. 비문은 서유린(徐有隣)[1738~1802]이 글을 짓고 정동준(鄭東浚)[1753~1795]이 본문 글씨를 쓰고 심이지(沈頤之)[1720~1780]가 전서(篆書)를 썼다. 본문의 글씨는 해서(楷書)체이다. 대흥사에서는 비문을 지은 서유린을 위해 이듬해 ‘서판서송 비’를 세워 화답하였다. 앞면은 18행, 옆면은 8행[오른쪽] 7행[왼쪽] 48자, 뒷면 음기는 30행으로 국계무강과 주상과 대비에게 축원하는 내용을 기록하면서 화주 및 거주 승려의 소임별 역할 등을 기록하였다.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명(西山大師表忠祠紀績碑銘)의 원문과 풀이는 다음과 같다.

“숭정대부(崇政大夫) 행 이조판서 판의금부사 지경연춘추관사 홍문관제학 동지성균관사 오위도총부도총관(行吏曹判書判義禁府事知經筵春秋館事弘文館提學同知成均館事五衛都摠府都摠管) 서유린(徐有隣)이 글을 짓다. 가선대부(嘉善大夫) 병조참판 겸 동지춘추관의금부사 규장각 검교직각(兵曹參判兼同知春秋館義禁府事奎章閣檢校直閣) 정동준(鄭東浚)이 글씨를 쓰다. 자헌대부(資憲大夫) 행 평안도관찰사 겸 병마수군절도사 도순찰사 관서관향사 평양부윤(行平安道觀察使兼兵馬水軍節度使都巡察使關西館餉使平壤府尹) 심이지(沈頤之)가 전서를 쓰다.”

[현황]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는 비지정 문화재이다. 표충비각(表忠碑閣) 안에 건립되었다. 관리 주체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2교구 본사인 대흥사이다. 서산대사 행적을 기리기 위해서 건립한 비는 두륜산 대흥사를 비롯해 묘향산 보현사, 묘향산 안심사와 금강산 백화암에 있다. 다만 대흥사에는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과 함께 1778년(정조 2) 세운 청허당비, 1791년 세운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도 있어서 서산대사대흥사와 긴밀한 관계를 맺었음을 알려 준다. 주변에 1647년(인조 25) 구청허당비(舊淸虛堂碑)가 세워진 것으로 보아 해남 대흥사 서산대사탑은 비와 함께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서산대사 표충사 기적비서산대사의 행적을 기록한 금석문 자료로 의미가 깊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