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901482 |
---|---|
한자 | 城主信仰 |
영어공식명칭 | Worship of House Guardian Gods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기도 가평군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덕묵 |
[정의]
경기도 가평 지역의 가택신 중 최고신인 성주에 대한 신앙 .
[개설]
가택의 최고신인 성주신은 주택을 지을 때 상량식을 하면서부터 거처가 정해진다. 성주신의 거처는 대청의 대들보 주변이 많은데 지역에 따라 성주신의 신체를 대신한 조형물을 걸어놓는 경우도 있고 아무 것도 조성해놓지 않은 곳도 있다. 경기도에서는 주로 한지를 접어 성주의 신체를 대신하기도 하는데 가평 지역의 경우에도 성주를 모실 때 한지를 접어 그 속에 동전을 넣고 대청 기둥에 붙여놓는다.
[연원 및 변천]
주택의 최고신인 성주신이 언제부터 모셔졌는지 알 수 없으나 오랜 옛날부터 자연을 숭배했던 우리의 토착 신앙으로 전승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도 집을 지을 때 상량식을 하고 집고사 때 성주에게 고사를 지내지만 주로 노년층의 토박이 주민들 위주로 행해지고 있다.
[절차]
성주신을 받을 때는 무당이 와서 굿을 하여 모신다. 성주신을 모실 때는 솔가지를 신대로 하여 집 밖으로 나가서 주위를 돌면서 신대에 성주신이 내리도록 축원한다. 신대에 성주신이 내리면 집안으로 들어와서 성주신이 좌정하고 싶어하는 자리를 찾은 후 그곳에 한지를 접어 붙여놓는다. 집고사를 지낼 때는 성주에게 팥시루떡과 청수 혹은 막걸리를 올린다. 요즘에는 특별히 성주를 모셔놓는 의례를 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러다 보니 신체는 볼 수 없으나 그래도 성주가 거처에 머물고 있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신체 없이 두면서 고사 때가 되면 대청에서 성주께 술과 떡을 바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것을 보고 허궁[건궁]으로 모셨다고 한다.
[사례]
가평군 설악면 이복선 집에서는 마루의 상기둥을 성주의 거처로 삼고 있으며, 성주를 모실 때 무당을 불러 한지를 접어 붙여 놓았다. 김유배의 큰집에서는 매년 한지를 교체하여 성주를 다시 매었다고 한다. 최양순의 집에서는 마루에서 안방으로 들어가는 방문 옆 기둥을 성주의 거처로 삼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