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문학산 제사 유적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40002
한자 文鶴山祭祀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민간 신앙 유적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시대 선사/청동기,고대,고려
집필자 이미정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제사 유적
크기(높이, 둘레) 3.6m[가로]|3.5m[세로]
관리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16년 5월연표보기 - 문학산 제사 유적 한국 고고 인류 연구소에서 발굴
현 소재지 문학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지도보기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문학산에 있는 청동기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의 제사 유적.

[개설]

제사 유적(祭祀遺蹟)은 신앙과 제사에 관련된 일체의 유적을 총칭한다. 선사와 고대 사회에서 인간은 자연에 의존하고 그것을 경외했기 때문에 제사와 의례 행위가 나타나게 되었다. 숭배의 대상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게 음식을 차려 의식을 행하는 것이 제사이고, 그 행위의 흔적이 남아 있는 장소가 제사 유적이다.

[위치]

문학산 제사 유적은 문학산 삼호현[사모지 고개]에서 정상부의 문학 산성(文鶴山城) 쪽으로 능선을 따라 약 150m 올라온 지점에 있다. 이곳에서 청동기 시대부터 고려 시대까지 제사 의식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유적이 발견되어 2016년 정밀 발굴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유적은 능선 한가운데 있는 3m 높이의 큰 바위 안쪽에 위치하고 있다.

[형태]

크기는 가로 최대 3.6m, 세로 최대 3.5m 정도로 평면은 ‘ㅁ’자 모양이며, 주변 바위 모양을 그대로 이용한 제단이다. 정사각형에 가까운 모양의 제단은 산 능선의 큰 바위 위쪽에 돌을 쌓아 만들었으며, 서쪽을 향하도록 설치하였다. 제단 위쪽은 기와지붕을 두어 제단을 보호하였고 문학산성 바깥에 별도의 제사 터가 마련되었다는 점이 특이하다.

바위를 그대로 이용한 제단의 모습은 선사 시대부터 내려온 대표적인 제의 유적의 형태지만 문학산 제사 유적처럼 산성과 떨어진 지점에 제사 터가 있는 것은 드문 경우다. 인근에 바다가 있는 전라남도 완도군의 장도 청해진 유적(將島淸海鎭遺蹟), 전라남도 영암군의 월출산 유적(月出山遺蹟), 전라남도 신안군 흑산도의 상라산 제사 유적(象羅山祭祀遺蹟)과 형태가 비슷하다.

건물지 상부 및 주변에서는 청동기 시대 간 돌 화살촉[마제석촉] 3점과 통일 신라 기와편 50점, 토기 20점, 고려 시대 명문기와 청자 각 2점 등 총 100여 점의 유물도 함께 출토됐다. 특히 유물 중 ‘순화원년 칠월일관(淳化元年 七月日官)’이라는 문장이 새겨진 고려 시대 기와는 이 유적의 이용 시기를 파악하는 단서가 됐다. 순화(淳化)는 북송(北宋)의 연호로 고려 시대 990년(성종 9)에 해당한다. 문학산 제사 유적이 청동기 시대부터 통일 신라 시대를 거쳐 고려 시대 이후 12세기까지 지속적으로 제사와 관련된 장소로 이용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의례]

문학산성 주변 유적 발굴 조사에서 청동기 시대 화살촉이 함께 출토되었고, 문학산 관련 제사 기록이 조선 시대에도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문학산 제사 유적은 상당히 오랜 기간 제사 터로 이용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백제 시기 중국으로 떠나는 사신들이 능허대(凌虛臺) 옆의 한 나루에서 배를 타고 떠났다는 이야기 등을 감안할 때 풍어제나 배에 탄 사람들의 안녕을 빌기 위해 제사를 지내던 시설로 추정된다. 이곳에서는 주로 바다와 관련된 생업, 바닷길의 안전, 전란으로부터의 안전 등을 기원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현황]

2014년 시굴 조사를 맡았던 한국 고고 인류 연구소가 2016년 5월부터 7월까지 인천 문학산성 주변 유적 발굴 조사를 진행했다. 발굴 조사 완료 이후 매장 문화재 원형 보존 조치와 함께 주변이 모두 정비되었고, 발굴된 유물의 일부[복제품]는 문학산 정상에 있는 문학산 역사관에 전시되어 일반에게 공개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문학산 제사 유적은 중부 지방에서 최초로 발견된 통일 신라 시대 제사 유적이기 때문에 관련 연구에 큰 의미가 있다. 바위를 그대로 이용한 제단의 모습이 선사 시대 때부터 내려온 대표적인 제의 유적의 형태면서도 문학산의 경우처럼 산성과 떨어진 지점에서 확인된 경우는 보기 드문 경우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