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투전 불림」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743
한자 投錢-
이칭/별칭 「튀전 불림」,「곱새치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집필자 남동걸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유희요
기능구분 유희요
형식구분 교창
가창자/시연자 전원관, 조두영 등
채록 시기/일시 1996년 - 「투전 불림」 『한국의 민요』 인천 지역 편에 수록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등지에서 투전할 때 부른 유희요.

[개설]

「투전 불림」투전할 때 부르던 소리로서, 승부보다는 풍류적인 면이 강하여, 웃음이 끊이지 않으면서 놀 때는 ‘투전 불림’이라고 했으며, 돈 따먹기에 집착하였을 때는 ‘튀전질’한다는 말로 경시하였으며, 시간 보내기로 놀 때는 ‘곱새치기’라고도 하였다.

[채록/수집 상황]

이선주의 『한국의 민요』 인천 지역 편에 「투전 불림」이라는 제목으로 여러 유형이 수록되어 있다.

[구성 및 형식]

「투전 불림」은 지름 소리와 불림 소리가 있는데 지름 소리는 여러 정황을 말로 표현하지 않고 노래로 하기 때문에 감정이 격해지거나 거친 말이 오가지 않아서 놀이가 흥겹게 진행된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불림 소리는 투전 쪽의 끝수를 노래하는 것인데 자기가 버리는 숫자를 노래로 알려 주는 것으로 노랫말의 수가 매우 많은 것이 특징이다.

[내용]

『한국의 민요』 인천 지역 편에는 14개의 유형의 지름 소리가 있는데 여기서는 몇 개만 들기로 한다.

- 어디보자 무슨 자를 내야 산단 말이냐

- 응엔 응엔 여과난등 여과난등

- 어서 어서 떨어라 왜 아니 떠느냐

- 에야 있건 잡아라 없건 내구

『한국의 민요』 인천 지역 편에는 1이 19개, 2와 3이 각 15개, 4가 16개, 5와 9, 10이 각 14개, 6과 8이 각 13개, 7이 16개의 유형에 이를 정도로 불림 소리가 많다. 여기서는 각 숫자별로 몇 개씩만 들기로 한다.

1 - 일것 골라 내낭군이요 화령도 꼽은 길일세/ -일자무식 전무식이 아는 척은 잘도나 한다/ - 알났다 봉산가자

2 - 이과수는 저과수요 너하구 나하구 살아보자/- 과천 관악은 굴전기/- 이구산이면 삼공자

3 - 삼년탈상 새설움 난다/- 삼월이 둘이면 윤삼월/- 삼남개 연걸렸구나

4 - 사서삼경 배운 글을 오늘 여기서 다불린다/- 사해 너른 바다 황하(해)수/- 춘하추동은 사시절이라

5 - 오춘모는 당숙모요 니람동순 내동생이라/- 오경밤중 중밤이라 꽃같은 얼굴 시들어진다/- 오경마 비껴타구 승인선생 찾아간다

6 - 육리청산에 보라매/ 육날 미투리 감발신이다/- 육천마디 육갑을 하구 굼실굼실 잘도나 논다

7 - 양대거치 경강선이로구나/- 칠군칠정 제갈량/- 칠보단장 곱게 하고 조석으로 면경보네

8 - 녹수갱(강)변 팔팔 뛰는 것은 금붕어요/- 안구돌구 백년승/- 팔도강산 유람하게(유람가잔다)

9 - 이리봉 저리봉 개미허리 줄룩봉/- 귀뚤새 울고 동이 텃구나/- 구월 하구두 반야월짜 나려간다

10 - 장수박대는 군정법이요/- 진시황은 만리성을 쌓는구나/- 장수 탄 말 비룡말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투전 불림」은 노름의 일종인 투전을 할 때 불린 노래이지만 투전 이외에 분위기를 바꾸거나 시간을 보낼 때에도 행해졌기에 우리 선조들의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현황]

「투전 불림」은 현재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등지에서 일부 나이 드신 분들이 노름을 할 때 가끔씩 부르기도 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알지 못한다.

[의의와 평가]

「투전 불림」은 노름의 일종인 투전을 할 때 불린 노래로 전국적인 분포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투전을 할 때는 감정이 격해지거나 거친 말이 오가기 쉬우나 이를 노래로 중화시키고자 하는 선조들의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