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1051
한자 仁川鄕校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589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배성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향교
양식 명륜당 팔작지붕|대성전 맞배지붕
정면칸수 명륜당 5칸|대성전 3칸
측면칸수 명륜당 2칸|대성전 3칸
소유자 성균관 유도회 인천 지부
관리자 성균관 유도회 인천 지부
문화재 지정번호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개축|증축 시기/일시 1406년 - 인천향교 중수(1)
개축|증축 시기/일시 1466년 - 인천향교 중수(2)
개축|증축 시기/일시 1701년 - 인천향교 중수(3)
개축|증축 시기/일시 1976년 - 인천향교 대성전, 명륜당, 삼문 등 보수 및 복원
문화재 지정 일시 1990년 11월 9일연표보기 - 인천향교 인천광역시 지정 지방 유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인천향교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재지정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인천향교에서 부천 향교로 명칭 변경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46년 3월연표보기 - 부천 향교에서 인천향교로 복원
현 소재지 인천향교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매소홀로 589[문학동 349-2]지도보기

[정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있는 조선 시대 국립 교육 기관.

[개설]

향교는 공자와 여러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조선 시대에 나라에서 세운 교육 기관이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토지와 노비, 책 등을 지원받아 학생을 가르쳤으나, 지금은 교육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 기능만 남아 있다.

[위치]

인천향교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에 자리 잡고 있다.

[변천]

인천향교의 설립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속수증보 인천 향교지(續修增補 仁川 鄕校誌)』를 근거로 한 구자혁의 1398년(태조 7)설과 인근 다른 지역의 향교와 마찬가지로 고려 인종 대에 설립되었다는 남달우의 설이 있다. 다만, 1406년(태종 6년)과 1466년(세조 12)에 대대적인 중수가 있었다는 『인천 향교기(仁川 鄕校記)』의 기록에 따라 적어도 1406년 이전에 설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 후 병자호란으로 불탄 것을 1701년(숙종 27)에 중수하였다.

1914년 지금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일대가 경기도 부천군으로 편제되면서 인천향교의 명칭도 부천 향교로 바뀌었다. 당시 인천부와 부평부를 통합하여 부천군을 신설하였기 때문에 부천군의 관내에는 부평 향교와 부천 향교 2개의 향교가 존재하게 되면서 부천 향교의 존폐 문제가 대두되었고, 곧 철폐되기에 이르렀다.

1945년 해방 이후 인천향교의 복구가 시작되어 1946년 3월 인천 향교 복구 기성회가 조직되었고, 부평 향교로부터 분리되어 인천향교로 복원되었다. 인천향교는 1976년 대성전, 명륜당, 삼문 등을 보수, 복원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형태]

인천향교는 전체적으로 전학 후묘(前學後廟)의 배치를 보이고 있다. 즉 전면에 강학의 공간인 명륜당(明倫堂), 동재(東齋), 서재(西齋)가 위치하며, 후면에 단을 높여 배향의 공간인 대성전(大成殿), 동무(東廡), 서무(西廡)를 배치하였다.

외삼문과 내삼문은 향교의 건축물 규격에 맞게 설치되었고,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형태로 문학산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전반을 조망할 수 있도록 건축되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형태를 하고 있으며, 그 안에 공자(孔子)와 4성(四聖)[증자(曾子), 안자(顔子), 맹자(孟子), 자사(子思)], 10철(十哲)[안회(顔回), 민자건(閔子騫), 염백우(冉伯牛), 중궁(仲弓), 재아(宰我), 자공(子貢), 염유(冉有), 자로(子路), 자유(子游), 자하(子夏)] 그리고 중국 송나라의 6현(六賢)[주렴계(周廉溪), 소강절(邵康節), 장횡거(張橫渠), 정명도(程明道), 정이천(程伊川), 주회암(朱晦菴)]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

좌우의 동무와 서무에는 우리나라 역대 유현(儒賢)[문창후(文昌侯) 최치원, 홍유후(弘儒侯) 설총, 문성공(文成公) 안유, 문충공(文忠公) 정몽주, 문헌공(文憲公) 정여창, 문경공(文敬公) 김굉필, 문원공(文元公) 이언적, 문정공(文正公) 조광조, 문정공(文正公) 김인후, 문순공(文純公) 이황, 문간공(文簡公) 성혼, 문성공(文成公) 이이, 문열공(文烈公) 조헌, 문원공(文元公) 김장생, 문정공(文正公) 송시열, 문경공(文敬公) 김집, 문순공(文純公) 박세채, 문정공(文正公) 송준길]의 위패가 배향되어 있다.

[현황]

인천향교는 1995년 12월 인천 유생의 적극적인 참여와 인천광역시의 재정 지원을 받아 말끔하게 새 단장을 하였으며, 그 아래로 이전·복원된 인천도호부 청사가 자리하고 있어 많은 시민들이 방문하고 있다. 매년 두 차례의 석전제(釋奠祭)와 문묘 대제(文廟大祭)를 봉행하고 있다. 1990년 11월 9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의의와 평가]

인천향교병자호란 당시의 소실되고, 일제 강점기에는 강제 철폐 등 외압에 의해 많은 수난을 겪어 왔으나, 인천을 대표하는 향교로서 자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3.09.03 [현황] 수정 <변경 전>석전제(釋傳祭) <변경 후>석전제(釋奠祭)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