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700720 |
---|---|
한자 | 仁川保護觀察所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지명/시설 |
지역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13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홍진수 |
성격 | 보호 관찰소 |
---|---|
전화 | 032-872-1071 |
홈페이지 | 범죄 예방 정책국(http://www.cppb.go.kr/HP/TSPB13/index.do) |
준공 시기/일시 | 1989년 7월![]() |
최초 설립지 | 인천 보호 관찰소 - 인천직할시 중구 사동![]() |
주소 변경 | 인천 보호 관찰소 - 인천직할시 남구 주안동![]() |
현 소재지 | 인천 보호 관찰소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13[학익 2동 6-63]![]()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에 있는 보호 관찰, 사회봉사 명령 등의 업무를 집행하는 기관.
인천 보호 관찰소는 보호 관찰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집행 유예 등의 선고를 받은 자에 대한 보호 관찰, 사회봉사 명령 등의 업무를 집행하는 기관으로 교도소와 함께 형 집행의 양대 축에 해당한다.
1989년 7월에 12개 보호 관찰소 및 11개 지소를 설치하며 개청하였다. 1995년 1월에 「보호 관찰법」과 「갱생 보호법」이 통합되어 「보호 관찰 등에 관한 법률」로 전문 개정됨에 따라 갱생 보호의 업무가 추가되었고, 이후 성인범에 대한 보호 관찰의 실시 및 가정 폭력 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따른 가정 폭력 사범, 특정 범죄자에 대한 위치 추적 전자 장치 부착에 관한 법률에 따른 성폭력 사범 등에 대한 보호 관찰 업무를 수행하게 되었다.
1988년 12월에 「보호 관찰법」이 제정되어 1989년 7월 1일에 시행되면서 인천직할시 중구 사동에서 개청하였다. 1992년 12월 29일에 인천직할시 남구 주안동으로 청사를 이전하였고, 1996년 12월 10일에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소로 13[학익 2동 6-63]의 학익동 청사로 이전하였다. 2001년 10월 인천 보호 관찰소 부천 지소, 2010년 10월 인천 보호 관찰소 서부 지소가 신설되었고, 2011월 1월 24일 증축되었다.
인천 보호 관찰소는 행정 지원과, 관찰과, 사회봉사 집행과, 조사과로 구성되어 있다. 그 명칭에 의해 각각 맡은 업무를 확연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보호 관찰, 징역형에 대한 집행 유예를 받은 자에 대한 사회봉사 명령, 수강 명령의 집행을 맡고 있다.
2012년 5월 현재 성인 보호 관찰, 소년 보호 관찰, 사회봉사, 수강 명령의 대상자 합계는 2,500명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