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휴전 반대 인천 시민 궐기 대회 이전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638
한자 休戰反對仁川市民蹶起大會
분야 역사/근현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현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궐기 대회
관련인물/단체 이명호|송병철|사준|허섭|허봉조|문유도|김경일|안인애
발생|시작 시기/일시 1953년 4월 25일연표보기 - 휴전 반대 인천 시민 궐기 대회 개최
발단 시기/일시 1953년 4월 16일 - 6·25 전쟁 휴전 회담 재개
발생|시작 장소 인천 공설 운동장 - 인천광역시 중구 도원동[당시 인천부 도원동]

[정의]

1953년 4월 25일 인천 공설 운동장에서 6·25 전쟁 휴전 방침에 반대하여 거행된 인천 시민 궐기 대회.

[역사적 배경]

6·25 전쟁이 3년째에 접어들자 미국을 비롯한 국제 연합 참전국들 사이에는 더 이상 한국에서 희생을 치를 수 없다는 여론이 높아져 갔다. 공산권도 승리 없는 전쟁에 대한 과중한 부담으로 인해 휴전 회담 분위기가 고조되었다. 게다가 스탈린이 사망으로 인해 휴전 논의는 더욱 가속화되었다. 그러나 이승만 대통령의 완강한 반대로 회담은 고비를 맞게 되고, 1953년 6월 18일 반공 포로 석방으로 한국에서의 휴전 반대 움직임이 절정에 달하였다.

[경과]

1953년 3월 하순, 포로 송환 문제로 인해 정체되었던 휴전 회담이 재개되면서 휴전 반대 운동은 열기를 더해갔고, 4월 5일 이승만 대통령은 “국토 통일이 이룩되지 못하는 휴전보다는 차라리 한·만 국경선으로의 진격을 단행해야 할 것이다.”라고 미국과 유엔군 사령부를 겨냥한 결의를 표명했다. 이에 따라 4월 6일에는 서울에서, 4월 10일에는 부산에서 수만 명의 학생들이 집결하여 “통일이 아니면 죽음을 달라.”라고 외쳤고, 마침내 4월 25일에는 인천에서도 휴전을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1953년 4월 25일 오전 11시 인천 공설 운동장에서 휴전 반대 궐기 대회가 개최되었다. 대회장에는 입추의 여지없이 많은 시민들이 참석하여, ‘휴전 반대’, ‘북진 통일’을 외쳤다. 궐기 대회는 이명호 대회장의 개회사로 시작되어 송병철, 사준, 허섭, 허봉조, 문유도, 김경일, 안인애 등의 ‘성토사’와 메시지 낭독으로 진행되었고, 대회 후 참석자들의 시가행진으로 휴전 반대 인천 시민 궐기 대회가 종료되었다.

[의의와 평가]

한국이 휴전을 반대한 이유는 국토 통일에 대한 가망이 사라진 데 대한 울분과, 휴전이 성립된 이후 제2의 6·25가 재발할 경우 이에 대처할 미국의 보장을 받지 못한 것에서 비롯된 불안감 때문이었다. 한국 정부는 이러한 불안을 해소하고 전쟁 재발 억제를 위한 ‘한·미 상호 방위 조약’의 현실화를 위해 인천을 비롯한 전국적 차원의 휴전 반대 운동을 활용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