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인천의 금석문』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700271
한자 仁川-金石文
분야 지리/인문 지리,문화·교육/언론·출판
유형 문헌/단행본
지역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학술서
저자 인천광역시립 박물관
편자 배성수(裵晟洙)|이의인(李義仁)
번역자 이성임(李成妊)
간행자 인천광역시립 박물관
표제 人川의 金石文
간행 시기/일시 2004년연표보기 - 『인천의 금석문』 간행
관련 사항 시기/일시 1999년~2001년 - 인천광역시립 박물관에서 인천광역시의 금석문 발굴 조사, 탁본
관련 사항 시기/일시 2003년 - 인천광역시립 박물관에서 조사한 금석문의 탁본 변역 및 해설
소장처 인천광역시립 박물관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 160번길 26[옥련동 525]
간행처 인천광역시립 박물관 - 인천광역시 연수구 청량로 160번길 26[옥련동 525]

[정의]

2004년에 인천광역시립 박물관에서 펴낸 학술서.

[개설]

금석문은 금속이나 돌에 새긴 글씨나 그림으로 역사적으로 중요한 자료이다. 『인천의 금석문』은 사적비(事蹟碑), 기념비(記念碑), 신도비(神道碑), 묘갈(墓碣), 선정비(善政碑), 공덕비(功德碑) 등 인천광역시 전 지역의 석문(石文)을 수록하고 있어 인천의 역사를 밝히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인천의 금석문』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포함하여 인천광역시 관내의 금석문 중에서 사료적 가치가 높은 것을 수록한 책이다.

[편찬/간행 경위]

인천광역시립 박물관에서 금석문의 체계적인 학술 총서의 필요성을 느끼고,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비롯한 인천광역시 전 지역의 금석문을 발굴 조사하여 탁본하고 2003년 이를 바탕으로 자료의 번역과 해설을 달아 2004년 편찬하였다.

[형태]

1책 3장의 금석문 모음집으로 가로 21.5㎝, 세로 30㎝이며, 맨 앞에는 김상용 순의비(金尙容殉義碑)가 첨부되어 있으며, 374면으로 되어 있다.

[구성/내용]

『인천의 금석문』은 조선 시대부터 1945년 8월 이전에 건립된 비문을 모아 놓은 책이다. 목차는 사적·기념비(事蹟·記念碑), 신도비·묘갈(神道碑·墓碣), 선정·공덕비(善政·功德碑)로 되어 있으며, 편집 체제는 탁본, 비문, 번역, 해설의 순으로 되어 있다. 마멸이 심하여 판독이 불가능한 부분은 문집, 읍지 등 관련 자료를 참고로 수록하고 글자가 보이지 않을 경우 □로 표시하거나 ‘판독 불능’으로 표시하였다. 변역이나 해설은 한글로 되어 있으며 연대 표기는 서기와 간지를 병용하였다.

사적·기념비에는 김상용 순의비, 선두포 축언 시말비, 적석사 사적비, 참성단 개축비, 하음 백봉우 유적비, 권필 유허비, 윤집택지비, 이용희 문묘 중수 기적비, 화도 수문 개축 기사비, 광성 파수 순절비, 어재연 어재순 순절비, 동학당 토벌 순의비 등이 있다.

신도비에 안유종 신도비, 심우정 신도비, 황형 신도비, 이여발 신도비, 심즙 신도비, 심유 신도비, 조정만 신도비, 정제두 신도표, 홍우순 신도비가 있고, 묘갈에는 숙인 완산 이씨 묘갈, 김봉상 묘갈, 권반 묘갈, 정광전 묘갈, 이선린 묘갈, 정도형 묘갈, 정륵 묘갈, 심동구 묘갈, 안정 나씨 묘갈, 정수기 묘갈, 권환 묘갈, 김재로 묘갈, 김치일 묘갈, 이명달 묘갈, 전광서 묘갈, 김치인 묘갈, 최준창 묘갈, 조형규 묘갈이 있다.

선정·공덕비에는 인천 부사(仁川府使)[15개] 부평 부사(富平府使)[18개], 강화 부사(江華府使)·강화 유수(江華留守)·강화 유수 겸 진무사(江華留守兼鎭撫使)[15개], 교동 부사(喬洞府使)[8개], 영종 첨사(永宗僉使)·영종 방어사(永宗防禦使)[15개], 관찰사(觀察使)[5개] 등과 관련된 것들이 있으며, 기타 부분에는 유혜비(遺惠碑)·영세 불망비(永世不忘碑) 등이 있다.

[의의와 평가]

『인천의 금석문』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를 비롯한 인천광역시 전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금석문 중 역사적 사료로 가치가 높은 것을 모아 편찬한 책으로 인천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귀중한 자료이며, 금석문의 체계적인 학술 총서의 의미를 갖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