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시대에 현재의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위치에 세워졌던 사당의 터. 안관당(安官堂) 은 임진왜란 때 전사한 인천도호부 도호부사 김민선(金敏善) [1542~15...도호부사로서 문학산성 을 수리하여 지키면서 여러 차례 왜적을 무찌르다 전사하였다. 안관당 은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 문학산성 내에 있었던 건물이다. ...
-
...것은 그때 당지기가 깨뜨렸기 때문이라고 전해진다. 전설상의 바위는 영웅담, 기자암 등 민간신앙의 대상물이다. 따라서 바위를 분해하게 되면 신성이 분해되어 신성성이 없어진다. 안관당 당지기가 신성한 바위를 깨뜨렸기 때문에 신벌을 받았다. 경상북도 영양군 의 ‘ 벼락 바위 ' 전설에는 어떤 사람이 산에 나무를 하러 갔다가 바위에 뚜껑이 있어 열어 ...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산 봉수대 밑에 있던 인천 부사 김민선(金敏善) 의 사당에서 지내던 제례 . 예전에 문학산 봉수대 밑에 돌로 벽을 쌓은 안관당(安官堂) 이라는 사당이 있었다. 이 안관당 에는 나무로 깎아 새긴 할아버지와 할머니의 목조상을 모시고 있었다. 이 할아버지·할머니의 목조상을 마을 사람들은 안관 할아버지·안관 할머...
-
... 왜적을 무찌른 전공을 가상히 여겨 나라에서는 도승지에 추증하였으며, 인천 주민들은 문학산성 정상에 안관당(安官堂) 이라는 사당을 세워 제사를 지냈다. 인천도호부 주변 마을 사람들이 매년 두 번씩 제사를 올렸으며 일제강점기에 안관당 이 불타 버렸음에도 안관당제를 유지해 왔으나 문학산 정상에 군부대가 주둔하면서 그 명맥이 끊기고 말았다.
-
... 문학산성 , 고려 시대의 문학사(文鶴寺) 터 , 조선 전기 건물인 문학 문묘(文廟) 와 인천도호부 관아 의 일부가 남아 있다. 그 밖에도 학산 서원 터 , 안관당(安官堂) 터 등이 있다. 문학산 은 남산 , 성산 , 배꼽산 , 봉화둑산 등으로 불렸으며, 산꼭대기의 성은 남산 고성 , 에분성 , 비류성 이라...
-
...구 문학산 과 관련된 구술을 채록하기도 하였다. 성기열 의 채록에 따르면 문학산 은 배곱산 , 배꼽산 , 봉화뚝 이라고도 불렸으며, 문학산 에는 안관당 이 있었다고 전한다. 성기열 의 묘소는 경기도 양평군 에 있다. 성기열 이 사망 후, 부인 이춘실(李春實) 은 성기열 이 재직했던 인하 대학교 국어 교...
-
... 내 버린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문학동 에서는 과거 사마귀가 나면 문학산 의 안관당 주변에 있는 우물에 가서 그 물로 씻으면 낫는다는 말이 있어, 그렇게 하는 사람이 ...역적 범주를 넘어 타 지역에서도 사용되는 것들이 많다. 사마귀가 날 때 문학산 안관당 주변에 있는 우물에 가서 그 물로 씻었다는 내용은 구체적인 지역의 장소가 언급되었다...
-
...지고 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의 대표적인 민간 신앙 중심지는 문학산 이다. 문학산 은 이 지역의 영산으로 수십 년 전 기독교인들이 사당을 헐기 전까지만 하더라도 안관당 이 있어 많은 사람들의 기도처 또는 향토의 대표적인 신당 역할을 하고 있었다. 지금도 문학산 주변의 마을에서는 도당제를 지내고 있다. 도시화되면서 사라진 마을도 있지만 ...
-
... 우물가의 백일기도」 , 「홍두깨가 팔미도에 떠오르다」 , 「흔들못과 아기장수」 , 「물이 귀해서 붙여졌다는 무지물 고개」 , 「갑옷 바위를 깨뜨리려다 벼락 맞은 안관당지기」 , 「떠내려 온 수봉산」 , 「중이 살았다고 해서 붙여진 중일 고개」 , 「신목에 불 지르고 즉사한 박 호장의 아들 형제」 , 「문학산의 이칭인 봉화뚝과 ...
-
...임진왜란 때 인천 부사였던 김민선(金敏善) [1542~1592]이 주민을 이끌고 문학산성 에서 왜군과 맞서 싸우다 전사했고, 산성 안에는 김민선 을 기리는 사당인 안관당(安官堂) 이 있었다고 한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학익동 에 있는 문학 터널 서쪽의 사모지 고개 를 따라 조성된 등산로가 있고 이 고갯마루에서 문학산 정상 쪽으...